728x90

전체 글 87

11

11. 다음을 모두 설명하는 입지이론은? ○ 운송비의 관점에서 특정 공장이 원료지향적인 지 또는 시장지향적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원 료지수(MI: material index)’ 개념을 사용한다. ○ 최소운송비 지점, 최소노동비 지점, 집적이익이 발생하는 구역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최소비 용지점을 결정한다. ○ 최소운송비 지점으로부터 기업이 입지를 바꿀 경우, 이에 따른 추가적인 운송비의 부담액이 동일한 지점을 연결한 것이 등비용선이다. ① 베버(A. Weber)의 최소비용이론 ② 호텔링(H. Hotelling)의 입지적 상호의존설 ③ 뢰쉬(A. Lösch)의 최대수요이론 ④ 애플바움(W. Applebaum)의 소비자분포기법 ⑤ 크리스탈러(W. Christaller)의 중심지이론

10

10. 도시공간구조이론 및 지대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버제스(E. Burgess)의 동심원이론에 따르면 중심업무지 구와 저소득층 주거지대 사이에 점이지대가 위치한다. ② 호이트(H. Hoyt)의 선형이론에 따르면 도시공간구조의 성장과 분화는 주요 교통축을 따라 부채꼴 모양으로 확 대되면서 나타난다. ③ 해리스(C. Harris)와 울만(E. Ullman)의 다핵심이론에 교 통축을 적용하여 개선한 이론이 호이트의 선형이론이다. ④ 헤이그(R. Haig)의 마찰비용이론에 따르면 마찰비용은 교통비와 지대로 구성된다. ⑤ 알론소(W. Alonso)의 입찰지대곡선은 도심에서외곽으 로나감에따라가장높은지대를지불할수있는각산업의 지대곡선들을연결한 것이다.

8

8. A부동산에 대한 기존 시장의 균형상태에서 수요함수 는       , 공급함수는      이다. 시장의 수요자수가 2배로 증가되는 경우, 새로운 시 장의 균형가격과 기존 시장의 균형가격 간의 차액 은?(단, P는 가격(단위: 만원),  는 수요량(단위: m2 ),  는 공급량(단위: m2 )이며, A부동산은 민간 재(private goods)로 시장의 수요자는 모두 동일한 개별수요함수를 가지며, 다른 조건은 동일함) ① 24만원 ② 48만원 ③ 56 만원 ④ 72만원 ⑤ 80만원

7

7. 수요와 공급의 가격탄력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 은?(단, 축은 수량, 축은 가격, 수요의 가격탄력성 은 절댓값이며, 다른 조건은 동일함) ①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수요량의 변화율에 대한 가격의 변화비율을 측정한 것이다. ②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완전비탄력적이면 가격이 변화할 때 수요량이 무한대로 변화한다. ③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비탄력적이면 수요량의 변화율이 가격의 변화율보다 더 크다. ④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탄력적이면 가격의 변화율보다 공 급량의 변화율이 더 크다. ⑤ 공급곡선이 수직선이면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완전탄력 적이다.

6

6. A주택시장과 B주택시장의 함수조건이 다음과 같다. 거미집이론에 의한 두 시장의 모형형태는?(단, 축은 수량, 축은 가격, 각각의 시장에 대한 는 가격,  는 수요량,  는 공급량, 다른 조건은 동일함) A주택시장:              B주택시장:                ① A: 수렴형, B: 수렴형 ② A: 수렴형, B: 발산형 ③ A: 수렴형, B: 순환형 ④ A: 발산형, B: 수렴형 ⑤ A: 발산형, B: 발산형

5

5. 수요와 공급이 동시에 변화할 경우, 균형가격과 균형 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단, 수요곡선은 우하 향, 공급곡선은 우상향, 다른 조건은 동일함) ① 수요와 공급이 증가하는 경우, 수요의 증가폭이 공급의 증가폭보다 크다면 균형가격은 상승하고 균형량은 감소 한다. ② 수요와 공급이 감소하는 경우, 수요의 감소폭이 공급의 감소폭보다 작다면 균형가격은 상승하고 균형량은 증가 한다. ③ 수요와 공급이 감소하는 경우, 수요의 감소폭과 공급의 감 소폭이 같다면 균형가격은 불변이고 균형량은 증가한다. ④ 수요는 증가하고 공급이 감소하는 경우, 수요의 증가폭 이 공급의 감소폭보다 작다면 균형가격은 상승하고 균 형량은 증가한다. ⑤ 수요는 감소하고 공급이 증가하는 경우, 수요의 감소폭 이 공급의 증가폭보다 작..

4

4. 아파트 매매가격이 10 % 상승할 때, 아파트 매매수요 량이 5 % 감소하고 오피스텔 매매수요량이 8 % 증가 하였다. 이 때 아파트 매매수요의 가격탄력성의 정도 (A), 오피스텔 매매수요의 교차탄력성(B), 아파트에 대한 오피스텔의 관계(C)는?(단, 수요의 가격탄력성 은 절댓값이며, 다른 조건은 동일함) ① A: 비탄력적, B: 0.5, C: 대체재 ② A: 탄력적, B: 0.5, C: 보완재 ③ A: 비탄력적, B: 0.8, C: 대체재 ④ A: 탄력적, B: 0.8, C: 보완재 ⑤ A: 비탄력적, B: 1.0, C: 대체재

3

3. 토지의 자연적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부증성으로 인해 동산과 부동산이 구분되고, 일반재화와 부동산재화의 특성이 다르게 나타 난다. ㄴ. 부동성으로 인해 임장활동과 지역분석을 필요 로 한다. ㄷ. 인접성으로 인해 부동산의 수급이 불균형하여 균형가격의 형성이 어렵다. ㄹ. 개별성으로 인해 일물일가 법칙의 적용이 배제 되어 토지시장에서 물건 간 완전한 대체관계 가 제약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