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부동산학개론/부동산학 각론 14

부동산시장론

가. 부동산시장 1. 시장의 개념과 형태 a) 시장의 개념 어떤 상품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계속적으로 나타나 상품의 가격이 정해지고 균형량이 정해지는 장소 및 거래과정을 말한다. b) 시장의 형태 - 완전경쟁시장 다수의 판매자와 구매자가 존재하고, 거래되는 상품의 품질이 동질적이며, 상품의 가격/품질 등에 대한 완전한 정보를 지니고 기업이 자유롭게 해당 산업에 진입과 탈퇴를 할 수 있는 시장을 말한다. !) 시장에서 상품을 사는 사람과 파는 사람의 수가 아주 많아야 한다. 개별수요자나 공급자가 수요량이나 공급량을 변경할지라도 시장가격에는 영향을 미칠수 없게 된다. !!) 거래되는 상품이 동질적이여야 한다. 품질은 물론 여러 가지 판매 조건도 같아야 한다는 것이다. !!!) 기업이 자유롭게 해당 산업에 진..

부동산의 경기변동

가. 부동산경기변동의 개념 및 특징 1. 부동산경기변동의 개념 - 협의의 부동산경기 : 주거용 부동산의 건축경기를 지칭한다. - 광의의 부동산경기 : 공업용, 상업용 부동산경기 - 최광의의 부동산경기 : 토지경기까지 포함 - 부동산 경기변동이란 부동산시장이 일반경기변동과 같이 상승과 하강을 주기적으로 갖는것을 말한다. 2. 부동산경기변동의 특징 - 부동산경기는 일반경기보다 변동주기가 더 길다. 일반경기의 변동주기는 8~10년, 부동산경기의 변동주기는 17~18년으로 약 2배길다. - 일반경기의 변동에 비해 부동산경기의 변동은 저점이 깊고 정점이 높다. - 부동산경기변동은 일반경기에 비해 뒤처지는 시간차가 존재하며 이를 타성기간이라하고, 순환국면이 불규칙적이다. - 지역적/국지적으로 나타나서 전국적/광역적..

수요와 공급의 탄력성

가. 수요의 가격탄력성 1. 개념 - 어떤 재화의 가격이 변할 때 그 재화의 수요량이 얼마나 변했는지를 측정할수 있다. 가격변화라는 자극에 대해 수요량이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자극에 대한 반응의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를 탄력성 이라고 한다. - 같은 금액의 가격이 올랐을 때 A의 수요량은 1단위가 감소하고 B의 수요량은 2단위가 감소한다면 가격변화에 대해 B의 수요가 A의 수요에 비해 더 민감하게 반응했다고 단정할수 있는가에 대해 본다면 그렇지않다. 같은가격이 100원 올랐다고 하더라도 100원에서 200원이 된것과 1000원에서 1100원이 된것은 전혀 다른 가격변화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표준화된 방법이 필요한데 그것이 바로 수요의 가격탄력성 이다. 가격 ..

부동산경제론

가. 부동산의 수요와 공급 1. 부동산의 수요 a) 수요의 개념 - 수요란 일정 기간 또는 시점에 사람들이 재화와 서비스를 구매하고자 하는 욕구를 말한다. 그리고 그 수요를 실재로 행동에 옮기는 것을 소비 하고 한다. 또한 수요를 정의할 때 일정 기간을 전제로 하는 개념을 유량 이라 하며 일정 시점을 전제로 하는 개념을 저량 이라고 한다. *유량 : 일정 기간을 전제로 하는 개념. 1일간, 1개월간, 1년간 등의 기간을 명시해야함. 예] 임대료 수입, 주택거래량 등 *저량 : 일정 시점을 전제로 하는 개념. 예] 주택재고량, 보유부동산의 시장가치, 국부 등 b) 수요곡선과 수요의 법칙 어떤 재화의 수요곡선이란 해당 재화 가격이 변할 떄 그 재화의 수요량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보여 주는 곡선이다. 이 경우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