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학개론/부동산학 각론

수요와 공급의 탄력성

쩡이미니 2022. 10. 6. 10:18
728x90

가. 수요의 가격탄력성

1. 개념

- 어떤 재화의 가격이 변할 때 그 재화의 수요량이 얼마나 변했는지를 측정할수 있다.

가격변화라는 자극에 대해 수요량이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자극에 대한 반응의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를 탄력성 이라고 한다.

 

- 같은 금액의 가격이 올랐을 때 A의 수요량은 1단위가 감소하고 B의 수요량은 2단위가 감소한다면

가격변화에 대해 B의 수요가 A의 수요에 비해 더 민감하게 반응했다고 단정할수 있는가에 대해 본다면 그렇지않다.

같은가격이 100원 올랐다고 하더라도 100원에서 200원이 된것과 1000원에서 1100원이 된것은 전혀 다른 가격변화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표준화된 방법이 필요한데 그것이 바로 수요의 가격탄력성 이다.

가격 변화율을 분모에 놓고 수요량 변화율을 분자에 놓아 구한 값이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된다.

주의할 것은 변화분이 아닌 변화율 이다.

 

- 수요의 법칙에 의해 가격과 수요량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계산하면 음의 값을 갖는다. 그러나 음의 부호는 가격과 수요량의 방향 때문에 생긴 것이므로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나타낼때는 절댓값으로 나타낸다.

 

- 어느 재화의 가격의 10%상승할때 그 재화의 수요량이 20% 감소한다면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절댓값으로 2 ( = 20% / 10%) 이다. 이는 해당 재화의 가격이 1% 상승하면 수요량은 2% 감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종류

수요량 변화율을 가격 변화율로 나눈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0과 무한대 사이의 값을 갖는다.

a) 수요량 변화율이 가격 변화율과 같다면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1이된다. 단위탄력적 이라 한다.

b) 수요량 변화율이 가격 변화율보다 커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1보다 크면, 수요가 가격에 대해 탄력적 이라 한다.

c) 수요량 변화율이 가격 변화율보다 작아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1보다 작으면, 수요가 가격에 대해 비탄력적 이라 한다.

d) 가격이 변해도 수요량에 변화가 없는경우 수요량 변화율이 0이므로 가격탄력성은 0이고 완전비탄력적 이라 한다.

e) 0에 가까운 변화가 아주 큰 수요량 변화를 초래한다면 가격탄력성은 무한대 이고, 완전탄력적 이라 한다.

 

3.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임대부동산의 임대료총수입

임대부동산의 임대료 총수입 = 가격 * 수요량

임대부동산의 임대료총수입은 그 상품에 대한 시장수요량에 가격(임대료)을 곱한 값이다. 따라서 임대료 총수입은 가격변화와 수요량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탄력적일 경우 가격이 상승하면 가격 상승률보다 수요량 감소율이 크게 되어 임대료총수입은 감소하고, 가격이 하락하면 임대료총수입은 증가한다.

반대로 비탄력적일 경우 가격이 상승하면 가격상승률이 수요량 감소율보다 크게 되어 임대료총수입은 증가하고, 가격이 하락한다면 임대료총수입은 감소한다.

-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탄력적 일때 가격이 하락한다면 임대료총수입은 증가한다.

-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비탄력적 일때 가격이 하락하면 임대료총수입은 감소한다.

-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단위탄력적일때 가격이 하락하면 임대료총수입은 불변이다.

 

4. 수요의 가격탄력성 결정요인

- 수요의 가격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소득, 상품의 종류, 대체재의 유무, 시간 등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중요한것은 대체재의 유무이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대체재가 많을수록 크며, 적을수록 작다. 일반적으로 부동산은 대체재가 많지 않으며, 대체재가 있더라도 유용성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부동산시장의 수요는 가격에 대해 비탄력적 이다.

-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측정기간과 관련 있는데, 기간이 길어질수록 대체재가 많이 만들어져 보다 탄력적이 된다.

-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부동산의 종류에 따라 다른데, 주거용 부동산이 다른 부동산에 비해 더 탄력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부동산에 대한 종류별로 용도가 다양할수록, 용도전환이 쉬울수록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커진다.

-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일상생활에 있어 해당 상품의 중요성과 관련 있는데, 필수재는 비탄력적인 반면 사치재는 탄력적이다.

 

나. 공급의 가격탄력성

1. 개념

한 상품의 가격이 변하면 그 상품의 공급량도 변하는데, 그 변화의 척도를 측정하는 척도가 공급의 가격탄력성이다. 

공급량 변화율을 가격 변화율로 나눈 값을 말한다. [공급의가격탄력성 = 공급량변화율 / 가격변화율]

 

2. 장단기 공급곡선과 탄력성

공급곡선은 동일한 상품을 생산함에 있어 생산기간이 짧게 주어질수록 공급이 어려워 공급곡선이 비탄력적이 되고, 생산기간이 충분히 주어질수록 공급이 쉬워져 공급곡선이 탄력적이 된다. 따라서 단기공급곡선은 비탄력적이고, 장기공급곡선은 탄력적인 형태를 띤다.

 

다. 수요의 소득탄력성과 교차탄력성

1. 수요의 소득탄력성

a) 개념

소득 변화율에 대한 수요량 변화율의 정도를 측정하는 척도로, 수요량 변화율을 소득 변화율로 나눈 값을 말한다.

[수요의 소득탄력성 = 수요량 변화율 / 소득 변화율]

 

b) 수요의 소득탄력성과 재화

- 소득의 증가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는 재화는 수요의 소득탄력성이 양(+) 이며 정상재 이다.

- 소득의 증가에 따라 수요가 감소하는 재화는 수요의 소득탄력성이 음(-) 이며 열등재 이다.

- 소득의 변화가 수요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재화는 수요의 소득탄력성이 0 이며 중립재 이다.

 

2. 수요의 교차탄력성

a) 개념

한 상품의 수요가 다른 연관 상품의 가격변화에 반응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척도이다.

[수요의 교차탄력성 = Y재 수요량 변화율 / X재 가격 변화율]

 

b) 수요의 교차탄력성과 재화

- 수요의 교차탄력성이 양(+)의 값을 가지면 X재 가격과 Y재 수요량은 같은 방향으로 변하며 대체재 관계에 있다.

- 수요의 교차탄력성이 음(-)의 값을 가지면 X재 가격과 Y재 수요량은 반대 방향으로 변하며 보완재 관계에 있다.

-수요의 교차탄력성이 0의 값을 가지면 X재 가격변화와 Y재 수요량에 영향을 주지않고 독립재 관계에 있다.

 

 

728x90

'부동산학개론 > 부동산학 각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정책론 - 부동산문제  (2) 2022.10.07
입지 및 공간구조론  (1) 2022.10.07
부동산시장론  (0) 2022.10.06
부동산의 경기변동  (0) 2022.10.06
부동산경제론  (1) 2022.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