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마케팅
가. 부동산마케팅의 의의 및 분류
1. 부동산마케팅의 의의
부동산과 부동산산업에 대한 태도나 행동을 형성/유지/변경하기 위해 수행하는 활동을 말한다.
2. 부동산마케팅의 분류
- 주거용 부동산마케팅
주택,아파트 및 주거시설의 판매나 임대를 조장하기 위해 노력하는 활동
- 업무용 부동산마케팅
업무용 부동산을 판매나 임대를 조장하기 위해 노력하는 활동
- 토지투자마케팅
투자 목적을 위해 토지를 개발하고 판매하기 위해 노력하는 활동
- 부동산서비스마케팅
중개,평가,권리분석,금융,관리,상담 등 서비스를 개발,팔매 하기위해 노력하는 활동
- 부동산임대마케팅
각종 부동산의 임대
- 부동산정책마케팅
부동산정책의 개발과 홍보를 위함.
나. 부동산마케팅과 환경
1. 거시환경
1-1. 자연환경
1-2. 인문환경
- 경제적/기술적 환경
- 정치적/행정적 환경
- 사회적/문화적 환경
2. 미시환경
1-1. 경쟁업자
부동산기업은 이익을 발생시키는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경쟁업자와 경쟁한다.
1-2. 공중
기업목적을 달성하는데 실질적 또는 잠재적으로 이해관계를 가지는 집단을 말한다.
1-3. 정부
적극적인 행정작용을 통해 부동산기업에 영향을 미친다.
다. 부동산마케팅의 전략
1. 시장점유 마케팅 전략
1-1. STP 전략 - 전통적 전략
- 시장세분화 전략 (Segmentation)
- 표적시장 선정 전략 (Target)
- 차별화 전략 (Positioning)
1-2. 4P MIX 전략 - 상업용 부동산에서 많이 사용
- 제품전략 (Product)
- 가격전략 (Price)
- 유통경로전략 (Place)
- 판매촉진전략 (Promotion)
2. 고객점유 마케팅 전략
주의, 관심, 욕망, 행동으로 이어지는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과정의 각 단계에서 소비자와의 심리적 접점을 마련하고, 전달되는 메시지의 톤과 강도를 조절하여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하려는 것이다.
3. 관계 마케팅 전략
1회성거래가 아닌 장기적/지속적인 관계 유지를 주축으로 하는 관계 마케팅이 등장했다.
브랜드와 연관되어있는데 한 지역의 해당 브랜드의 성공은 다른 지역에도 파급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